×
News
정치
경제
사회
국제
IT/과학
생활/문화
연예
스포츠
오피니언
지역뉴스
대구&경북
|
울산&경남
Special Section
D;Con
HeMil(밀리터리)
Global Insight
●
실시간 뉴스
포토
구독신청
뉴스레터
증권방송
헬스
[김태열 기자의 생생건강 365] 소아백혈병, 항암치료로 ‘부작용 없는 성장’ 90%성과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소아급성림프구성백혈병은 소아암 중 가장 흔하여 전체 소아암 중 20% 내지 25%를 차지합니다. 주로 바이러스와 싸우는 혈액의 림프구를 만드는 골수 내 림프모세포가 악성 세포로 변하여 증식하는 중증질환입니다. 정상 혈액 세포가 자라야 할 골수 내 공간을 악성세포가 차지하여 정상적인 적혈...
2021.01.26 09:40
매일 먹는 조현병 약, 주사 한방이면 ‘3개월 효과’
[헤럴드경제(성남)=박정규 기자]정신분열증이라고 불렸던 조현병은 도파민, 세로티닌 등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이 깨져 생기는 뇌의 병이다. 보통 20대에서 30대 사이에 발생하며, 임상적으로는 과도한 의심과 불안, 수면장애, 사회관계의 단절, 학업 성적의 저하가 원인이 돼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조현병 치료를 위해서...
2021.01.25 13:38
“프로바이오틱스균, 아토피 염증인자 줄여줘”
프로바이오틱스를 활용해 염증성 피부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권호근 교수와 포항공과대학 생명과학과 임신혁 교수, 이뮤노바이옴(주) 연구팀은 아토피·접촉성 피부염에서 항염증성 장내공생미생물 (이하 프로바이오틱스균)이 염증인자를 크게 줄였다고 20일 밝혔다....
2021.01.21 11:25
기침·얼굴통증·후각상실…비염 방치하다 ‘큰코’ 다칩니다
우리 몸의 신체 기관인 코는 머리뼈와 얼굴뼈 속에 있는 공간과 연결돼 있다. 이 연결 공간은 ‘부비동’이라 부른다. 부비동에는 공기가 차 있어 일명 공기주머니로도 불리는데 두개골의 무게를 줄여주고, 목소리를 울려 윤기 있는 소리로 만들어 준다. 특히 부비동에는 자연공이라는 창문이 있다. 이곳을 통해 공기가 드...
2021.01.21 11:25
원형탈모 임산부, 유산·조산 위험도 높다
원형탈모를 앓은 임산부의 경우 유산위험이 커져 임신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연구팀(제1저자 조수익 진료교수)은 산부인과 이승미 교수, 김세익 연구교수와 원형탈모증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난 18일 밝...
2021.01.21 11:25
[특별기고] ‘뉴노멀 시대’ 소통 전략의 중요성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가 벌써 1년을 넘겼지만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의료계는 방역의 최전방에서 기나긴 악전고투를 이어오고 있다. 코로나19 1년을 맞아 의료계 구성원 전체에게 먼저 존경과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 지난 1년간 다양한 사투의 현장에서 감염위험을 무릅쓰고 헌신한 의료진과 봉사자들의 진정성...
2021.01.20 11:27
집게 車까지 동원된 못버리는 정신질환...‘저장강박증’
[헤럴드경제(안양)=박정규 기자]저장강박증(compulsive hoarding syndrome)은 어떤 물건이든지 필요하지도 않으면서 계속 쌓아두기만 하고, 처분하지 못하는 강박장애의 일종이다. 쌓인 쓰레기는 악취와 불결함을 유발해 민원발생 요인도 되고 있다. 안양시가 청소기동반을 활용, 저장강박 가정을 발굴해 집안을 정리정돈...
2021.01.18 10:58
국민 80% “백신접종 의사 있다”…3명 중 2명은 “지켜보다 맞겠다”
우리나라 국민 80%가 다음달부터 무료접종이 시작될 예정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을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접종시기에 대해서는 3명중 2명이 ‘지켜보다가 접종 받겠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팀은 이달 8일부터 10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2021.01.14 11:19
고혈압·당뇨·복부비만이 ‘노화성 난청’ 불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박경호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이 2009년~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해 19세 이상 1만6799명을 대상으로 난청의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나이가 많아질수록 청력이 점차 악화되었으며 특히 65세가 넘어가면 6000Hz 이상의 고음 청력이 급격히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01.14 11:14
이른둥이 출산 막는 전기신호 자극 ‘전자약’ 개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원장 박종훈) 산부인과 안기훈 교수팀(왕은진, 김희윤 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 뇌과학연구소 이수현 박사 연구팀, 그리고 안전성평가연구소 황정호 박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조산을 조기에 진단하고, 동시에 치료 할 수 있는 비침습형 전자약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반...
2021.01.14 11:13
1
2
3
4
5
6
7
8
9
10
많이 본 정보
연재 기사
‘샌드위치’된 삼성폰…“애플에 밀리고, 샤오미에 치이고!” [IT선빵!]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가 추락한 틈을 샤오미와 오포 등이 차지하고 있다. 지난 1월에만 1273만대가 팔린 세계 2위 휴대폰 시장 인도에서 샤오미는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3057만대가 팔린 세계 1위 휴대폰 시장 중국에서는 오포가 21%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중국 업체가 강세를 보이는 시장을 겨냥해 갤럭시A32, 갤럭시A5...
IT선빵
[홍길용의 화식열전] 은성수의 ‘가도멸괵’…이주열의 ‘인열폐식’
춘추시대 진(晉)나라 헌공(獻公)은 우(虞)나라를 공격하기에 앞서 두 나라 사이에 있는 괵(虢)나라에 길을 빌려 달라고 청한다. 괵나라는 길을 빌려주지만 우나라를 점령한 진나라 군대는 돌아가는 길에 방심하던 괵나라까지 삼켜버린다. ‘가도멸괵(假途滅虢)’의 고사다. ‘목이 멜까’ 두려워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의 얘기가 회남자(淮南子)에 나온다. 한...
홍길용의 화식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