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회 첫발부터 옥탑방·반지하…주거푸어 청년층이 늘어난다
#. 대학생 이준영(25ㆍ가명) 씨는 2년 전 약 1년 동안 거주하던 옥탑방 생각을 하면 아직도 이가 갈린다. 지방에서 상경해 대학을 다니던 이 씨는 학비를 내는 것도 빠듯한 형편이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서울 신촌의 한 옥탑방을 계약했다.

그러나 이 씨는 그 해 여름과 겨울, 참을 수 없는 더위와 추위로 고생해야만 했다. 뙤약볕이 내리쬐는 여름엔 옥탑망 자체가 열이 받아 지글지글 끓는 듯 했고, 겨울에는 보일러를 아무리 틀어도 방 안이 따뜻해지지 않았다. 외려 방바닥은 뜨거운데 침대 위에서는 입김이 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씨는 “방안이야 장판 깔고 이불 속에 들어가면 된다지만 씻는 건 정말 괴로웠다”면서 “겨우내 샤워 횟수를 최대한 줄여야만 했다”고 털어놨다.

청년들이 옥탑방과 반지하, 고시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연애ㆍ결혼ㆍ출산 포기를 뜻하는 조어 ‘삼포세대’를 넘어 내 집 마련과 인간관계까지 포기한다는 ‘오포세대’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나는 등 청년 주거 빈곤이 심각한 사회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천정부지로 치솟는 전셋값도 청년 주거난을 부추기지만, 치솟는 생활물가에 비해 터무니 없이 낮은 최저임금 수준과 사상최악의 취업난 등도 이들의 ‘내 집 마련’ 꿈을 짓밟고 있다는 지적이 적잖다.

직장인 박모(30) 씨도 2년 전까지 친구 2명과 함께 반지하 생활을 했다. 방 2개에 화장실 1개인 집의 월세는 불과 25만원. 저렴한 이유가 있었다. 주변 치안이 좋지 않은 것은 물론, 살고 있는 집에서도 범죄가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당시 박 씨의 한 달 생활비는 50만원이었고, 친구들과 월세 및 각종 전기ㆍ수도요금, 식비 등을 위해 20만원씩 갹출해 내는 것도 큰 부담이었다. 별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대학 졸업 후에는 부모님께 그마저도 손을 벌리기 힘들어 결국 본가로 들어갔다. 박 씨는 “혼자 살고 싶은 마음은 크지만, 아직 비정규직 신세라 한달에 30만~40만원을 내는 것도 버겁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2월부터 두 달간 민달팽이유니온 등 청년단체들에 조사를 의뢰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서울의 주거빈곤 청년(만 19∼34세)은 2010년 기준 52만3869명이었다. 이는 전체 청년 229만4494명의 22.9%를 차지한다.


박혜림 기자/r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