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사회적 합의 필요한 ‘예비역 관심병사’ 안전 매뉴얼
서울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으로 3명이 숨지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가해자 최모(23)씨는 실탄 10발이 들어있는 탄창을 지급받아 1발의 영점사격후 갑자기 뒤돌아서 동료 예비군 4명에게 7발을 난사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과거에도 예비군 훈련장 인명사고는 종종 있었다. 1993년 경기 연천의 포병사격훈련장에서 155㎜ 고폭탄 장약통에 불이 붙어 예비군 16명과 현역장병 3명이 사망하는 등 예비군 훈련사상 가장 큰 인명피해를 냈다. 이듬해에는 미금시 훈련장에서 총기 오발사고로 한명이 숨졌다. 2004년에는 경기 양주에서 훈련용 전자뇌관이 터져 예비군 4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최근 5년간 예비군 훈련 중 발생한 사건ㆍ사고는 사망 5건, 각종 부상 128건 등 총 133건에 이른다. 대부분 관리소홀이나 부주의 등으로 발생한 안전사고였다. 그러나 이번처럼 동료를 향해 무차별 총격을 가한 것은 처음있는 일이다.

군 당국은 이번 참사에 대해 그 어렵다는 현역 군 복무도 잘 마친 예비역을 통제할 마땅할 방안이 없다고 항변할 지 모르겠다. 물론 그런 불가항력적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인간의 자유의지까지 사전에 제어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을 복기해 보면 꼭 그런 것 만은 아니다. 우선 안전수칙만 제대로 지켰어도 피해는 최소화할 수 있었다. 통상 영점사격을 위해 실탄 3발을 지급하고 탄창을 바꿔서 추가로 실탄을 지급하도록 돼 있으나 사고 훈련장은 10발이 든 탄창을 한 번에 지급해 피해를 키웠다. 총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상에 고정하는 안전고리도 채우지 않았다. 사로는 총 20개나 됐지만 사로에서 직접 지켜 본 요원은 병사 6명에 그쳤다. 방탄복 같은 보호장구 착용도 없었다.

이같은 안전수칙은 군 당국의 의지에 따라 즉각적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문제는 최씨 같은 현역시절 관심병사로 분류된 예비역들에 대한 아무런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군은 지난해 6월 ‘임 병장 총기난사’ 사건 이후 민관군 병영문화 개선책을 내놓았지만 미처 예비역까지는 생각지 못했다. 군 행정이 한 치 앞도 내다보지 못하니 사건이 터지면 허둥대며 별 실효성 없는 사후약방문격 대책을 내놓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 아닌가. 자식 걱정을 제대 후에도 이어가야 한다면 군의 도리가 아니다. 군 당국은 차제에 관심병사 출신 예비역의 동원훈련 소집에 따른 안전 매뉴얼을 내놓고 어디까지가 적당한 선 인지 사회적 합의를 모아야 할 것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