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TV 시청자 채널충성도 30% 이상 대폭 하락...여론집중도조사 결과
[헤럴드경제=이윤미 기자]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텔레비전 시사 보도 프로그램을 보는 시청자들의 채널 충성도가 크게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여론집중도조사위원회(위원장: 윤영철, 이하 ‘위원회’)는 21일 ‘4대 매체부문별 매체사의 뉴스시사정보 이용점유율’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방송법상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편성할 수 있는 11개 텔레비전방송채널(10개 방송사)을 대상으로 한 텔레비전방송 부문의 경우, 2015년 이용점유율은 한국방송(KBS) 29.9%, 문화방송(MBC) 11.2%, 티브이(TV)조선 10.6%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3개사의 합산 이용점유율을 기준으로 한 텔레비전방송부문의 이용집중도(CR3)는 51.8%로, 제1기 위원회 조사 시점인 2012년의 82.7%보다 대폭 하락했다.

산정방식은 개별 채널의 보도프로그램 1년 평균시청률×편성시간×방영횟수/분석대상에 포함된 모든 채널의 보도프로그램들의 1년 평균시청률×편성시간×방영횟수이다.

신문 부문의 2015년 이용점유율은 조선일보 24.6%, 중앙일보 15.7%, 동아일보 14.2%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3개사의 합산 이용점유율을 기준으로 한 신문부문의 이용집중도(CR3: Concentration Ratio)는 54.4%로, 제1기 위원회 조사 시점인 2012년의 57.6%보다 하락했다.
대상은 보도를 전문으로 하는 신문법상 일간신문을 산정대상으로 종이신문 열독 데이터(2015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를 활용해 이용점유율을 산출했다.

라디오방송 부문의 경우, 시사보도 콘텐츠를 편성하는 모든 라디오 방송사 가운데 이용자들이 실제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16개 라디오 방송사를 이용점유율 산정 대상으로 했으며, ‘2015 언론수용자 의식조사(한국언론진흥재단)’의 라디오청취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점유율을 산출했다.

그 결과, 2015년 이용점유율은 문화방송(MBC) 40.2%, 한국방송(KBS) 25.3%, 서울방송(SBS) 11.2% 순이며, 상위 3개사의 합산 이용점유율을 기준으로 한 라디오방송부문의 이용집중도(CR3)는 76.8%로, 제1기 위원회 조사 시점인 2012년의 87.7%보다 하락했다.

인터넷뉴스 부문은 조사 기간 중 순방문자 기준으로 도달률 1% 이상의 뉴스시사보도 관련 웹사이트와 인터넷뉴스서비스 사이트를 이용점유율 산정 대상으로, 웹사이트 체류시간 데이터(인터넷 이용자 조사, 닐슨코리안클릭)를 활용해 이용점유율을 산출했다.

그 결과, 2015년 뉴스생산자 기준 이용점유율은 연합뉴스 18.5%, 조선일보 8.7%, 동아일보 7.7%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3개사의 합산 이용점유율을 기준으로 한 인터넷뉴스부문의 이용집중도(CR3)는 34.8%로 나타났다.

한편 2015년 뉴스이용창구 기준 이용점유율은 네이버(55.4%), 다음(22.4%), 네이트(7.4%)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3개사의 합산 점유율을 기준으로 한 인터넷뉴스부문의 이용집중도(CR3)는 85.2%였다.

매체계열별 매체합산 여론영향력 점유율도 인터넷뉴스부문의 이용점유율 산정 기준에 맞추어 두 가지로 산정했다. 우선 인터넷뉴스부문을 뉴스생산자 기준으로 산정할 때 매체합산 여론영향력 점유율은 한국방송(KBS)계열이 17.5%, 조선일보계열이 11.1%, 연합뉴스계열이 9.9%로 나타났다. 상위 3개사의 매체합산 여론영향력 점유율을 기준으로 한 전체 매체부문의 여론영향력 집중도(CR3)는 38.5%이다. 한편, 인터넷뉴스부문을 뉴스이용창구 기준으로 산정할 때, 매체합산 여론영향력 점유율은 네이버 18.1%, 한국방송(KBS)계열 17%, 조선일보계열 8.9%로 이들 상위 3개사의 점유율을 기준으로 한 전체 매체합산 여론영향력 집중도(CR3)는 44.1%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에 따라 이뤄진 것으로 문체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방송통신위원회에 전달할 계획이다. 또한 앞으로 제3기 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하여 제2기 위원회에서 제안한 인터넷뉴스서비스와 누리소통망(SNS) 등 디지털 뉴스중개자의 여론영향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여론집중도 지수 해석 기준의 구체화 필요성 등을 검토하고, 매체별 여론집중도 추이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mee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