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과 여야 당대표 오찬은 영수회담일까? 대표회동일까?
- 靑은 외교 설명회, 與는 영수회담, 野는 대표회동…표현도 제각각, 왜?

[헤럴드경제=김상수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의 19일 첫 오찬회동은 영수회담일까, 대표회동일까, 외교 설명회일까’ 청와대는 영수회담이란 표현을 피하려 하고, 여당이나 일부 야당에선 이를 영수회담으로 지칭했다. 영수회담이 아니란 측과 맞다는 측의 속사정은 역대 정부의 영수회담을 보면 알 수 있다.

19일 청와대와 국회 각 정당에 따르면, 청와대는 이날 회동을 영수회담이 아닌 ‘정당대표 초청 정상외교 성과설명회’라 표현했다. 바른정당은 ‘대통령ㆍ여야 당대표회담’으로, 정의당은 ‘대통령ㆍ여야 5당대표 회동’이라 밝혔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당 공식 일정 통보에 ‘영수회담’이라 했다. 같은 회동을 두고 모두 표현 방식이 다른 셈이다. 


특히 청와대는 영수회담이란 표현에 민감한 기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영수회담이 과거 제1야당 대표와 대통령이 직접 둘이 만나 정국을 풀어내는, 그 시대의 회담을 일컫는 말”이라며 “지금은 초대 대상도 여러 명이고 과거의 의미를 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동을 ‘외교성과 설명회’로 규정하며, 확대 의미 부여를 경계했다.

영수회담(領袖會談)의 사전적 의미는 ‘옷깃(領)과 소매(袖)’가 만나는 회담으로, 국가나 정치단체의 최고 지도자가 만나는 걸 일컫는다. 사전적 의미로 보면 이번 회동은 영수회담이 맞다. 하지만 청와대가 이 표현을 꺼리는 건 최근 역대 영수회담의 민감성과 무관하지 않다. 영수회담이란 무게감 만큼이나 어김없이 결과에 따른 실망감도 컸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2005년 9월 당시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와 첫 영수회담을 가졌다. 당시 현안은 ‘대연정’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연정 등을 위한 선거제도 개편을 제안했고, 박 대표는 “말씀을 거둬달라”고 강하게 거부했다. 2시간 30분가량 이어졌지만 합의문도 없이 종결됐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첫 영수회담은 2008년 5월 21일. 상대는 손학규 당시 통합민주당 대표였다.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쇠고기 협상이 화두였다. 이날 회담 역시 손 대표가 수차례 재협상을 요구했고 이 전 대통령이 이를 거절하는 공방만 반복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3년 9월 당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 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영수회담을 가졌다. 당시 민주당은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등으로 장외투쟁을 벌이던 때였다. 90분간 만났지만, “정답이 하나도 없다(김 대표)”의 말처럼 오히려 골만 깊어졌다. 문재인 대통령도 당 대표 시절 박 전 대통령과 두 차례 영수회담을 가진 적 있다. 이 역시 모두 이견만 확인한 채 끝났다.

이번 회동 역시 추가경정예산이나 정부조직개편, 인사난맥 등 국회 협조를 요청할 굵직한 현안이 걸려 있다. 그럼에도 청와대가 영수회담이 아니라 선을 긋는 건, 이들 현안 때문에 자칫 국회와의 갈등이 부각되거나 또 해결책이 도출되지 않았을 때의 역풍 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각 정당도 표현 속에도 각자 나름의 이해관계가 엿보인다. 여당이나 국민의당은 영수회담으로 지칭, 이번 회동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고, 다당제가 존립 기반인 바른정당이나 정의당은 양당제 색채가 짙은 영수회담 대신 당대표회담, 5당대표 회동 등으로 표현했다.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