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해외주식 길라잡이] 중국 정책 리스크 대응 전략
한정숙 미래에셋증권 선임연구위원

7월의 중국증시는 높은 변동성을 보였다. 6월에 과잉생산 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 것에 이어서, 7월에는 신약 연구개발 심사기준을 강화하고, 사교육을 규제했으며,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플랫폼 기업들에게 벌금을 징수하는 등 정부의 규제 강화가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플랫폼 기업 중심으로의 전방위적 규제가 일회성으로 끝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최근 인민은행 부총재는 반독점 행위가 앤트그룹 한 회사만의 문제가 아니라면서, 앞으로도 대상을 확대해 규제를 강화할 의지를 밝혔기 때문이다.

사업의 확장성이 제한되고 자금조달 능력이 저하된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 플랫폼 기업들의 높은 이익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먼저 반독점법 강화가 사업 확정성을 약화시키고 있다. 대형 인터넷 기업들의 경우 소비자의 편의성을 제고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몸집을 키워왔다. 그러나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이러한 과정에서 반독점법을 위반하는 행위가 있었다고 지적하면서, 벌금을 징수하는 등의 징계수위를 높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 미국시장에 상장한 디디추싱의 경우는 중국 내 신규 다운로드가 금지되면서 사업 확장에 제동이 걸렸다.

둘째로 자금조달 능력이 저하되어 재무적인 부담이 높아질 수 있다. 중국 상무위원회는 데이터보안법 제정을 승인했는데, 미국 시장에 상장한 기업은 미국 감독 당국에 자료를 제출하라는 요구에 거부가 불가하다는 조항에 위배되는 내용을 담고있다. 여기에 인민은행은 인터넷 기업이 주로 채용하는 변동지분사업체(VIE) 방식으로 해외에 상장하려는 비금융 결제 기업에 대해 기업공개(IPO) 신고 의무화로 제도를 개정했다. 해외 시장에 상장하는 것이 어려워졌을 뿐 아니라 이미 해외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도 상장 폐지 혹은 중국에서의 퇴출을 우려해야하는 상황인 것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과거 정부 차원에서 자국 기업 보호 강화와 동시에 외국 기업에 대한 진입장벽을 높이며 몸집 키우기가 가능했던 중국의 대형 인터넷 기업들은 정부의 규제 장벽에 가로막혀 성장에 제동이 걸렸다. 이에 따라 알리바바, 텐센트, 징동, 메이퇀, 핀두어두어와 같은 대형 인터넷 기업들이나, 해당 기업들의 비중이 30%가 넘는 MSCI China와 항셍테크 지수에 대한 투자는 신중해야 하며, 정책 리스크에 기민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한편 중국의 정책 리스크가 높아지는 만큼, 정책 지원 확대가 확실시되는 분야를 선별해 투자할 것을 제안한다. 대표적으로 태양광과 같은 신에너지와 반도체 중심의 첨단산업 테마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전략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중국에서 비즈니스가 있으며 높은 배당을 지급하는 홍콩과 해외에 상장된 REITs 상품으로의 포트폴리오를 분산한다면, 홍콩시장과 미국 주식예탁증서(ADR)의 변동성 확대를 방어하는 유리한 투자전략일 것으로 제시한다.

한정숙 미래에셋증권 선임연구위원

parkid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